[네트워크] OSI 7 계층 / Layer

2022. 5. 7. 19:15·Network
osi 7 계층이란 무엇일까?
여기서 설명하는 osi 7 계층이란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통신을 하는 여러 수많은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각 계층별로 나누어 놓은 표준안입니다.

예전에는 주로 OSI 7 계층 모델을 사용하였지만, 오늘날에는 tcp/ip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tcp/ip를 기반으로 하여도 이를 이해함과 동시에 tcp/ip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osi 7 계층에 대해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우선 tcp/ip를 아주 가볍게 설명하고 넘어가 보자.

이미지 인용 출처 : https://velog.io/@ki5970/Computer-Science-OSI-7%EA%B3%84%EC%B8%B5

osi 7 계층은 7개의 계층으로 나뉘어 있으며,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4 계층은 하위 또는 데이터 플로 계층이라 불린다.

데이터 플로 계층이란? 데이터를 상대에게 잘 전달하는 역할이라 생각하면 된다.

5~7 계층은 상위 계층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이라 불린다.

 

TCP/IP는 이러한 OSI 7 계층을 좀 더 실용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들어졌으며,

4개의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OSI 7 계층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레젠 테이션 계층

세션 계층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각각 트랜스포트 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이더넷 계층으로 4개의 개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제 OSI 7 계층에 대해 알아보자

각 계층마다의 역할은 아래와 같다.

[1계층]
- 주로 전기 신호를 사용하며, 물리적 연결과 같은 행위를 주로함 1계층에서는 주소의 개념이 없으며
	전기 신호가 들어온 포트를 제외하고 모든 포트에 같은 전기 신호를 전송함

[2계층]
- 2계층은 전기 신호를 모아 데이터 형태로 처리하며, 또한 주소 정보를 정의하고 정확한 주소로
	통신이 되도록 한다. 이 외에도 데이터에 대한 에러를 탐지하거나 고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더넷 기반 네트워크의 2계층에서는 에러탐지만 수행하며, 이러한 과정의 플로 컨트롤을 수행함
    또한 2계층에서의 통신은 MAC이라는 주소를 가지고 통신을 함.
    
[3계층]
- 3계층에서는 IP를 통한 논리적 주소가 정의 된다.
	보통 통신을 할떄에는 2계층의 물리적 주소인 MAC주소와 3계층의 논리적 주소인 IP를 가지고 
    통신을 하게된다. 또한 라우터와 같은 3계층 장비를 통해 목적지 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탐색 및 전달한다.
    
[4계층]
- 4계층은 실제 신호를 만들고 올바른 위치로 보내는 것 보다 실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잘 
	보내지는지 확인하는 계층이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분할하여, 패킷에 실어 보낼때
    패킷이 유실되거나 바뀌는 경우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로드밸런서와 방화벽 역할도 수행한다.
    
[5계층]
- 5계층은 세션 계층으로 말 그대로 세션을 맺는 역할을 한다. 
	서로의 프로세스가 연결을 성립하거나, 유지되도록 관리하며, 끊기도 한다.
    이 외에 에러복구 및 재전송 기능또한 수행한다.
    
[6계층]
- 6계층은 응용프로그램마다 표현방식이 다르기에, 이러한 시스템 간의 통신을 돕기위해 통일된
	구문으로 변환 시킨다,
    
[7계층]
- 7계층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응용서비스를 수행한다.

 

 

 

 

참고자료 (이미지 인용)
https://velog.io/@ki5970/Computer-Science-OSI-7% EA% B3%84% EC% B8% B5

 

※ 내용이 이상하거나 문제가 있을 경우, 또는 설명에 부족한 내용이 있으시면 알려 주시면 감사합니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프로토콜  (0) 2022.05.07
[네트워크] 넷마스크 - 프리픽스 변환표  (1) 2021.12.13
[Network] 가상머신에서 네트워크의 종류 (Bridged, NAT, Host-only)  (2) 2021.12.02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네트워크] 프로토콜
  • [네트워크] 넷마스크 - 프리픽스 변환표
  • [Network] 가상머신에서 네트워크의 종류 (Bridged, NAT, Host-only)
g2h
g2h
  • g2h
    감자 텃밭
    g2h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44) N
      • Network (4)
      • Web (31) N
        • Web Hacking Techniques (31) N
      • System (32)
        • Tips (11)
        • System Hacking Techniques (21)
      • Pentest (14)
        • Pentest (14)
      • WriteUP (47)
        • sec (0)
      • 도구|Tools (12)
      • Security Issue (3)
      • 1-Day-Analysis (1)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load of sqlinjection
    dom based xss
    Hacking
    해킹툴
    취약점
    취약점 스캔
    침투테스트
    NOSQL
    모의해킹
    CTF
    skt 해킹
    Kioptrix
    스캐닝
    해킹도구
    DoM
    Metasploit
    스캔
    sql
    Los
    Reflected XSS
    SQL Injection
    cross side script
    해킹
    vulnability
    nosql injection
    XSS
    web hacking
    Encoding
    권한상승
    내부침투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g2h
[네트워크] OSI 7 계층 / Layer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