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칼리리눅스
- 해킹도구
- 스캐닝
- smb
- CTF
- SQL Injection
- 해킹
- 해킹툴
- 침투테스트
- Kioptrix
- 취약점
- 취약점분석
- Metasploit
- 포트스캔
- 내부침투
- SQLINJECTION
- 취약점 스캔
- 시스템 해킹
- 모의해킹
- 스캔
- 권한상승
- Samba
- 메타스플로잇
- 암호해독
- web hacking
- Los
- Hacking
- sql
- load of sqlinjection
- root권한
- Today
- Total
목록Network (4)
감자 텃밭
osi 7 계층이란 무엇일까? 여기서 설명하는 osi 7 계층이란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통신을 하는 여러 수많은 과정을 이해하기 쉽게 각 계층별로 나누어 놓은 표준안입니다. 예전에는 주로 OSI 7 계층 모델을 사용하였지만, 오늘날에는 tcp/ip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tcp/ip를 기반으로 하여도 이를 이해함과 동시에 tcp/ip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osi 7 계층에 대해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우선 tcp/ip를 아주 가볍게 설명하고 넘어가 보자. osi 7 계층은 7개의 계층으로 나뉘어 있으며,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4 계층은 하위 또는 데이터 플로 계층이라 불린다. 데이터 플로 계층이란? 데이터를 상대에게 잘 전달하는 역할이라 생..
프로토콜이란?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정해져 있는 규약 이러한 프로토콜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 설명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매체, 신호규약, 회선 규격 등 물리적 측면에서 봤을 경우 이더넷 프로토콜 장치들 끼리 통신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 규격과 같이 논리적인 측면에서는 TCP/IP 프로토콜 ※여기서 TCP/IP는 프로토콜이라 보기보다 프로토콜 스택이라 부른다. 해당 TCP/IP프로토콜 스택은 TCP, IP를 제외한 UDP, ICMP, ARP, HTTP, SMTP, FTP 등 다양한 7 계층 프로토콜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프로토콜 스택은 프로토콜의 묶음이라 생각하면 된다.
넷마스크 - 프리픽스 변환 Netmask prefix host 255.255.255.255 /32 1 255.255.255.254 /31 2 255.255.255.252 /30 4 255.255.255.248 /29 8 255.255.255.240 /28 16 255.255.255.224 /27 32 255.255.255.192 /26 64 255.255.255.128 /25 128 255.255.255.0 /24 256 255.255.254.0 /23 512 255.255.252.0 /22 1,024 255.255.248.0 /21 2,048 255.255.240.0 /20 4,096 255.255.224.0 /19 8,192 255.255.192.0 /18 16,384 255.255.128.0 /17..
vmware, virtualBox등의 가상머신에서 네트워크어뎁터 설정하는 부분을 보면 Bridget, NAT, Host-only로 나눠지게된다. 이 3가지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가상네트워크의 종류 Host-Only : 외부와 단절된 내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으로, 구성된 가상머신 즉 vm등의 가상 머신 내에 존재하는 머신들 끼리만 통신이 가능함. NAT : 호스트 pc로부터 ip를 할당 받아 가상머신 프로그램이 자체 DHCP서버를 띄워 내부 네트워크 대역 할당 및 통신, 해당 호스트 PC를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함. Bridge : 공유기로부터 IP를 할당 받아, 호스트PC와 동일한 네트워크 대역의 IP를 갖게됨, 공유기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통신이 가능. Host-Only 위 그림과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