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리틀 에디안 방식

2021. 11. 20. 02:24·System/System Hacking Techniques

 

메모리의 원하는 특정 값을 저장할 경우

2가지 방식의 저장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1. 빅 엔디안(big endian)

2. 리틀 엔디안(little endian)

 

위의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해서 저장하게 된다.


빅 엔디안 방식은 낮은 주소에 데이터의 높은 바이트부터 저장하는 방식이며, 보통 사용자 관점에서

숫자를 사용하는 선형 방식과 같은 방식이다.

즉 메모리에 저장된 순서 그대로 읽을 수 있으며, 이해하기가 쉽다.

 

리틀 엔디안 방식은 낮은 주소에 데이터의 낮은 바이트 부터 저장하는 방식이며, 빅 에디안 방식의 반대로

거꾸로 읽어 들인다 대부분 x86아키텍처에서 리틀 에디안 방식을 사용하며 이를 인텔포맷이라 부른다.

 

위 사진과 같이 0xfd806729 라는 값을 메모리에 저장시키기 위해서

빅 엔디안 방식은 순서 그대로 입력하지만

리틀 엔디안 방식은 두칸(1Byte)씩 잘라 역순으로 저장하는 방식이다.

즉 작은 단위의 바이트가 앞에 오게된다.

'System > System Hacking Techniq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Return-to-Libc (RTL)  (0) 2021.11.20
[시스템] Return-to-Shellcode  (0) 2021.11.20
[시스템] NOP sled 기법  (0) 2021.11.20
[시스템] PLT 와 GOT [초급]  (1) 2021.11.19
[시스템] epilogue [에필로그 과정]  (1) 2021.11.18
'System/System Hacking Techniq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시스템] Return-to-Libc (RTL)
  • [시스템] Return-to-Shellcode
  • [시스템] NOP sled 기법
  • [시스템] PLT 와 GOT [초급]
g2h
g2h
  • g2h
    감자 텃밭
    g2h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44)
      • Network (4)
      • Web (31)
        • Web Hacking Techniques (31)
      • System (32)
        • Tips (11)
        • System Hacking Techniques (21)
      • Pentest (14)
        • Pentest (14)
      • WriteUP (47)
        • sec (0)
      • 도구|Tools (12)
      • Security Issue (3)
      • 1-Day-Analysis (1)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해킹툴
    CTF
    NOSQL
    취약점
    Reflected XSS
    skt 해킹
    권한상승
    내부침투
    해킹
    Hacking
    침투테스트
    SQL Injection
    Metasploit
    스캐닝
    Encoding
    해킹도구
    Kioptrix
    스캔
    web hacking
    Los
    취약점 스캔
    모의해킹
    cross side script
    DoM
    XSS
    vulnability
    load of sqlinjection
    nosql injection
    sql
    dom based xss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g2h
[시스템] 리틀 에디안 방식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