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 텃밭

backup Vulnerability (백업 취약점) 본문

Web Vulnerability

backup Vulnerability (백업 취약점)

g2h 2023. 1. 29. 11:57

Cause of occurrence

특정 파일을 생성 및 수정을 하다 보면 자동으로 백업파일이 생성되게 된다. 이때 자동으로 생성된 백업파일을 적절하게 이동 및 삭제하지 않고 방치하면, WebApplication에서 쉽게 노출되어, 공격자에게 쉽게 넘어갈 수 있다.

백업파일의 일부 확장자는 아래와 같다.

  • .backup
  • . bck
  • . old
  • . save
  • . bak
  • . sav
  • ~
  • . copy
  • /orig
  • . tmp
  • . txt
  • . back
  • . bkp
  • . bac
  • . tar
  • . gz
  • . tar.gz
  • . zip
  • . rar

특히나 Linux의 많은 텍스트 편집기(vim, gedit 등)는 파일을 편집하는 동안 백업 파일을 생성하게 되므로 항상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확인 후 안전하게 처리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Linux의 VIM 편집기를 사용한다면, "[파일명]~"으로 된 파일이 자동으로 생성되게 된다.
이를 방치해 둘 경우, WebApplication에서 노출될 수 있는 큰 위험이다.
또한 비정상 적인 종료료 문서 편집기가 종료될 시 swap-file을 이용하기 위해. swp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자동 생성된다.

URI를 통해 백업파일이 위치하고 있는 경로에서 백업파일이 존재한다면 공격자는 해당 백업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이는 흔히 사용하는 nmap을 통해 백업파일을 찾는 방법 또한 존재한다.

nmap -p 80 --script=http-backup-finder --script-args http-backup-finder.url=[URI]

BackupFile은 안전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 권한에 맞게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암호화 또는 접근제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 백업 파일을 정기적으로 복원하여 데이터 손상의 유무를 확인한다.
  • 무단 액세스 또는 수정을 감시하기 위해 파일 검토 및 모니터링을 하여야 한다.
  • 백업서버 또는 클라우드에 안전하게 보관한다.

 

 

※ 내용이 이상하거나 문제가 있을 경우, 또는 설명에 부족한 내용이 있으시면 알려 주시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