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IP Slip Vulnerability
Web/Web Hacking Techniques
ZIP Slip 취약점이란?Path Traversal 취약점의 한 부분으로 아카이브 파일에서 파일을 추출하는 동안 디렉터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게 무슨 소리냐? 압축된 파일 혹은 아카이브 파일에서 파일명이 절대경로 로 표시된 경로 명으로 되어 있는 경우, Unarchive 되면서 파명의 절대경로로 파일을 이동시키거나, 동일한 파일이 존재할 경우 이를 덮어쓸 수 있게 된다.왜 발생하는가?이러한 ZIP Slip 취약점은 여러 언어로 작성된 에코시스템에서 발견되지만, 높은 수준의 아카이브 파일 처리를 제공하는 라이브리가 없는 JAVA 환경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는 라이브러리가 존재하지 않기에, 개발자들이 Code Snippet을 통해 수동적으로 만들어지며, 이를 서로 공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
Deserialize_Vulnability for Python_Pickle
Web/Web Hacking Techniques
Deserialize란?역 직렬화로, 직렬화된 데이터 즉, 바이트 스트림을 역연산 하는 과정일 말한다.Serialization계층 구조의 데이터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뜻하며, 객체를 저장 및 전송의 편리함 및 다른 플렛폼에서 사용하거나, 객체의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직렬화는 어떤 기능을 하는 앤드포인트에서 사용될까?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전송서버에서 객체를 JSON형식으로 직렬화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보내고 클라이언트는 해당 JSON을 파싱하여 객체로 변환하며, 보통 REST API, GraphQL등 다양한 웹 API 통신에서 사용된다.데이터베이스 저장 및 조회ORM 사용시 객체를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로 직렬화되고, 역직렬화가 이루어진다.캐싱서버 측에서 데이터를 캐싱할 떄..
2025 알바몬 해킹 사건 정리
Security Issue
사건 개요4월 30일경 국태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플랫폼 "알바몬" 의 내부 시스템에서 비정상적인 접근이 식별되었다.SK Telecom 개인정보 유출 사건 이후 국내에서 큰 규모의 기업에서 지속적으로 해킹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알바몬 역시 이와 같은 해킹 공격을 2만 2,400여건의 이력서 데이터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알바몬 측은 5월1일 관련 사실을 공지 및 개인정보보호위원회, KISA 등 관계 기관에 신고했다고 밝혔다.유출 정보유출된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이 포함어있다.피해 규모공격자(해커)는 알바몬의 "이력서 작성 페이지미리보기" 기능을 노린것으로 보인다.4월 30일 이 기능을 통해 비정상적인 접근과 해킹 시도가 감지되었으며, 알바몬은 즉시 의심 계정과 IP를 차..
Cross-Site Script (XSS)
Web/Web Hacking Techniques
XSS란 무엇인가?동적인 처리가 이루어지는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공격자에 의해 조작된 악의적인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비정상적인 행위를 강제하게 하도록 하는 공격이며, 일반적으로 브라우저 측 스크립트 형태의 악성 코드를 다른 최종 사용자에게 보낼 때 발생한다. XSS 취약점은 OWASP TOP10에 매번 등록되는 취약점이다.왜 발생 하는가?사용자의 입력값이 웹 브라우저상에 노출되는 구간에서 사용자의 입력값을 검증하지 않고 신뢰하게되어, 각각의 XSS 공격 기법에 의해 웹 브라우저, 웹 애플리케이션, 백엔드 단에서 악성스크립트가 실행되고 이를 통해 쿠키, 세션 토큰 등 기타 민감한 정보에 엑세스 할 수 있게 되며, 이 외에도 다양한 공격 기법으로 연계될 수 있게 된다.공격 방식다양한 스크립트 언어가 있지만 현..
Stored-Based-XSS
Web/Web Hacking Techniques
Stored XSS란 무엇인가?Stored XSS는 사용자의 입력 값을 전달 받아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해당 저장 값을 불러와 동적 페이지를 구성할 때 발생하는 취약점이다. 보통 게시글이나, 댓글 기능에서 발견된다.Stored XSS 가 다른 XSS와의 차이는 악성 스크립트가 담긴 URL을 직접 전달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공격자는 악성 스크립트를 게시글 저장과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희생자가 해당 페이지에 접근하면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가져와 동적 페이지를 구성하며, 이 과정에서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 Stored XSS의 경우 게시판으로 예를 들어, 글쓰기 기능과 수정기능에 대한 내부 소스코드가 서로 상이하기에, 모든 기능에 대해 테스트 해봐야..
Reflected XSS
Web/Web Hacking Techniques
Reflected XSS란 무엇인가?Reflected XSS는 반사형 XSS로 사용자의 입력값을 받아 동적 페이지를 구성하는 환경에서 발생한다. DOM Based XSS 와의 큰 차이점은 DOM Based XSS는 브라우저단에서 입력값을 받아 동적 페이지를 구성하며 악성 스크립트가 실행된다면, Reflected XSS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사용자의 입력값을 받아 서버측에서 동적 웹 페이지를 구성 후 다 클라이언트 측에게 보내고 브라우저단에서 출력된다. 이때 스크립트가실행된다. 이를 구별 하는 방법으로는 Dom을 제어하는 스크립트가 브라우저단의 개발자 도구를 통해 노출되는지 확인하면 된다. 반대로 Reflected XSS는 응답페이지 내에 사용자의 입력값이 실려 노출된된다.사용자의 입력값이 URL 의 매개변..
Dom-Based-XSS
Web/Web Hacking Techniques
DOM-Based-XSS란?DOM-Based-XSS는 Reflected xss와 유사하지만, 엄연히 다르다. 이 둘의 차이점은 DOM-Based의 경우 Relected 와 달리 입력 값을 통해 동적 웹 페이지를 구성 및 악성 스크립트가 실행되는 구간이 웹 브라우저(Client Side)이다. 즉 주로 URL의 해시(fragment identifier)나 클라이언트 측에서 동적으로 변경되는 DOM 요소에 악성 스크립트가 삽입되어 발생한다. 오늘날에 Server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dom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DOM-Based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또한 DOM-Based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값에 대해 처리 로직이 브라우저단에서 이루어져 소스코드로 노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nnerHTML와 같은..
2025 KS한국고용정보 해킹 사건 정리
Security Issue
사건 개요최근 4월말 SKT Telecom 해킹 사건 이후 얼마 되지않아 또 한번 ks한국고용정보(콜센터 도급 운영 전문업체)에서 대규모 해킹으로 인한 인사 데이터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해당 피해 사건의 공격 과정은 공격자(해커)가 기업의 내부 계정을 탈취하기해 악성코드를 심어놓았다.KS한국고용정보의 공식 도메인 관리자 계정이 LummaC2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계정정보가 탈취된 정황이 확인되었다. 해당 악성코드로 인해 관리자 PC에 저장된 세션 토큰, 브라우저 자동저장 정보등을 빼내 공격자에게 전송되게 된다.이를 통해 관리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유출된다.사건 피해관리자 계정을 탈취한 공격자(해커)는 KS한국고용정보의 내부 인사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였다.이로 인해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던 ..